- 제철음식과 신선한 유기농산물을 사용해 건강식 제공
가이세키란 원래 일본의 관혼상제에 쓰는 정찬요리를 일컫는 요리였지만 메이지유신을 거치면서 계절과 음양, 그리고 건강을 고려하는 약선 음식의 특징을 갖게 됐다. 제철음식과 식재료를 이용해 정성을 다해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가격도 비싸고 제대로 예약해야 맛볼 수 있는 전통 일식 요리이다.
제철음식과 신선한 유기농산물을 사용하고 있고, 인공조미료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 건강식을 제공하고 있는 윤상돈 셰프는 고등학교 시절 우연한 기회에 우리나라 요리계의 큰 스승인 진양호 교수의 특강을 들었다. 요리가 단순히 먹는 음식의 개념을 넘어 다양한 장르로 즐기는 문화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열정적으로 강의하는 교수님의 모습을 보고 요리사에 대한 동경을 싹틔우게 되었다.
63빌딩 (현 63시티) 58층에 위치한 ‘슈치쿠’는 아마도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일식당일 것이다. 유유히 흐르는 한강과 서울시의 스카이라인, 멀리 북악산과 관악산까지 바라보이는 곳에 근무하며 전·현직 대통령부터 각계각층 저명한 인사들의 식사를 담당하며 식당의 위치만큼이나 높은 자부심과 깊은 요리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근무하던 시절이었다.
일본요리는 섬세함과 투박함, 끊임없는 배려와 친절, 강함과 부드러움의 적절한 균형이 함께 존재한다. 만물이 조화를 이루어야만 세상이 무탈하게 유지되는 것처럼 음식에도 어울림이 있어야 하고 맛에도 균형감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일식은 새콤달콤한 요리가 주를 이룬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것은 일식의 일부일 뿐 다양한 맛과 멋의 세계는 깊고 무궁무진하다. 사시미나 스시가 일본요리의 전부인 줄 알지만, 일식을 구성하는 일부분이지 전부라 말하긴 어렵고 맛과 영양의 균형을 이루려면 다양한 형태의 요리가 구성되어야 한다고 윤상돈 셰프는 일식을 이렇게 표현한다.
“‘정성과 감사’는 하루를 시작해서 잠자리에 들 때까지 수도 없이 갖는 마음입니다. 일종의 화두라고 할까요. 가끔 주위의 셰프나 동종업을 하시는 분들 중 자신의 일에 긍지를 갖지 못하거나 책임 있게 임하지 않는 분들을 가끔씩 봅니다. 그냥 일이니까 하는 거지. 누가 알아주기나 하나?, 원가는 무조건 줄이고, 힘들고 피곤하니 대충대충 적당히. 자신의 손에서 만들어진 음식이 손님에게 전달되어 입에 들어가는 순간까지 많은 노고와 관심이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고 또 그것이 만족이라는 성적표가 되어 돌아온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볼 수 없을 때가 많아 아쉬워요.”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