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생성: ChatGPT (OpenAI) 제공 / Cook&Chef 제작
[Cook&Chef = 오요리 기자]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유철환)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내 가공 정제소금의 원산지 표시 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주요 식품기업과 전통식품업계, 관련 협회 및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국내 생산(가공) 정제소금 원산지 표시 기준 합리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제소금은 K-푸드의 핵심 원료이자 국가 식량 안보 자원으로서, 안정적 공급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원산지 규제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어 식품산업 발전과 소비자 신뢰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문제의식이 대두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수입 천일염을 원료로 하여 용해수에 용해시킨 후 정밀 여과 및 증발 공정을 거쳐 염화나트륨(NaCl) 순도 99% 이상의 고품질 정제소금을 생산하고 있다. 이는 원료의 성분과 특성이 완전히 달라지는 '실질적 변형'에 해당하지만, 현행 원산지 규정은 이러한 가공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CJ제일제당, 대상, 농심, 삼양식품을 비롯한 주요 식품기업과 산마을영농조합법인, 일품김치 등 전통식품 기업들은 원산지 표시의 모호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간담회에서는 국내 정제 공정의 '실질적 변형' 인정 여부, '국내 생산(가공) / 원료 : ○○산' 등 생산 가공지와 원료 원산지를 함께 표기하는 새로운 표시 기준 도입, 식량 안보, 산업 경쟁력 및 소비자 알권리를 모두 충족하는 상생 해법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박종민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은 "K-푸드의 위상이 높아질수록 소금의 안정적 공급과 투명한 정보 제공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간담회가 정제소금 산업을 육성하고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합리적인 제도 개선의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