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이 극에 달하기 시작하자 정부와 기업은 협력해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기존의 제도나 이체나 입금 등에서 발생했던 허점들을 모두 개선했고 범죄의 수법들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아울러 국내의 수사기관도 지속적으로 집중단속을 실시했다. 피싱 조직은 범죄가 실효를 거두는 일이 줄어들자 신종 범죄 몸캠피싱(동영상 피싱, 영상통화 피싱, 영섹 피싱, 영상통화 피씽)이라는 수법을 만들어냈다. 영상물 유포 및 인터넷 협박, 휴대폰 해킹 등 다양한 수법들이 결합됐다.
교묘하게 편집한 영상이나 타인의 사진으로 성적인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영상통화를 제안하고 음란행위를 실시하도록 만들어 ‘몸캠’ 영상물을 녹화한다. 또, APK파일이나 ZIP파일 등을 보내 설치를 유도하고 개인정보들을 확보한다. 이후, 동영상 유포협박을 가해 피해자를 몰아세우는데, 피해자들 중 절반이 청소년으로 알려져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IT보안기업 ‘제로데이’ 관계자는 “몸캠피씽(영섹협박, 영상통화사기, 영상통화협박, 몸또, 화상통화사기)의 피해사례에 따르면 요구에 순응해도 결국 유출로 이어지는 사례들이 많았다.”라며 “초기의 메시지와 달리 범죄조직은 주기적으로 돈을 요구하기 때문이며, 영상의 삭제는 절대 이뤄지지 않는다.”라고 동영상 유포협박의 위험에 처한 피해자들을 위해 조언했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