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꼬들꼬들한 식감의 대명사 아나고회
[Cook&Chef = 변준성 기자] “푸른 바다다. 눈이 시원하다.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하늘빛과 바다 색깔이 똑같다. 길게 늘어진 지평선을 경계선 삼아 위, 아래로 나뉘어 있을 뿐이다. 바다와 하늘을 번갈아 쳐다보니 눈이 시원하다 못 해 시린 것 같기도 하다. 해변에는 해초가 밀려와 곳곳에 널려 있다. 하얀 갈매기는 한가로이 이곳저곳을 날아다닌다. 10년전쯤 부산 기장 칠암 회촌에서.... ”
자양강장식으로 남녀노소 모두에게 좋은 장어. 이는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장어의 단백질에는 해독작용과 세포 재생력이 좋은 점액성 단백질과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어 영양에도 좋고 노화방지와 피부미용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병후 회복, 허약체질개선, 산후회복이나 남성 정력 강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여름철 무더위에 지친 몸을 보양하는 음식으로 사랑 받고 있다.
![]() |
▲ |
붕장어는 일본말인 아나고로 불리던 시절이었다. 가까운 인천 연안부두의 어시장에나 가야 좋은 회가 있었고, 서울내기들은 회를 잘 먹을 줄 모르던 때였다. 붕장어는 기름기가 많아 빨리 상할 우려가 있다. 잘못 먹으면 이른바 '아다리 걸릴' 수 있다. 종전에는 손으로 작업하는 바람에 완벽하게 기름기를 제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기계로 작업하기 때문에 과거 같은 문제는 전혀 없다고 한다. 오히려 기름기가 줄면서 고기는 더 고소해졌다고 한다.
붕장어는 1년 사시사철 나는 고기다. 양식을 할 수 없어 모두 자연산이다. 그래서 믿고 먹을 수 있는데 그 맛은 혀를 어르고 달래지 않는다. 가득 찬 흰 살 단백질로 빈 몸을 메우고, 뜨거운 기름이 만든 경쾌한 파열음으로 공기를 가로지르는 물리적인 맛이다.
오돌오돌한 식감과 고소한 맛 때문에 생선회 입문용으로 붕장어를 많이 찾았다. 붕장어회는 껍질을 벗기고 잘게 썰어 물기를 꼭 짜낸 다음, 초장에 쓱쓱 비벼 먹어야 제맛이다. 또 붕장어는 야채에 초고추장을 버무려 먹는 게 일반화돼 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곁들인다면 초고추장에 콩가루를 넣고 붕장어와 버무려 먹는 방법이 있다.
콩가루의 고소함과 붕장어의 쫀득쫀득함이 젓가락질을 멈추지 못하게 한다. 쫄깃쫄깃 달콤한 붕장어의 맛이 입안을 가득 채우며 오독오독 씹히는 가는 뼈맛이 가히 ‘예술’이라 하겠다. 붕장어는 가격마저 저렴한 편이기에 배와 동시에 지갑도 무겁게 할 수 있는 착한 아이다.
![]() |
▲ 아나고 회에 고소한 양념장에 흰쌀밥 한 수저면 별미가 따로 없다. |
슬슬 붕장어 맛이 더욱 깊어지는 계절이다. 남녀노소는 물론 생선을 즐기지 않는 사람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어족, 붕장어. 우리 지역 어종이기에 더욱 ‘공감의 맛’이 짙은 식재료이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