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소비 데이터로 본 변화

이미지 생성: ChatGPT (OpenAI) 제공 / Cook&Chef 제작
[Cook&Chef = 김세온 기자] 작년과 비교해 외국인의 입맛을 사로 잡은 대표 K-푸드로 불고기, 김치가 아닌 국수와 만두로 꼽혔다. 작년 동기 대비 외국인이 찾는 한국 음식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관광공사(사장직무대행 서영충)가 2018년부터 2025년 7월까지의 외국인 신용카드 소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들의 음식 소비가 전통 한식 중심에서 한국인의 일상 속 K-푸드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잠재 방한 여행객 조사에서도 외국인이 한국 방문 시 가장 하고 싶은 활동으로 ‘맛집 투어’(15.7%)를 꼽았을 정도로 K-푸드가 단순한 끼니를 넘어 한국의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을 경험하는 주요 콘텐츠로 자리 잡은 것을 볼 수 있다.
외국인이 찾는 K-푸드 넘버원, 불고기 아니다?
과거 외국인에게 한국 음식은 김치, 불고기, 비빔밥과 같은 전통메뉴가 대표적이었다면 최근에는 라면, 김밥, 길거리 간식 등이 온라인을 통해 확산하면서 ‘한국인의 일상 음식’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외국인 카드 결제 데이터의 연평균 성장률(CAGR)이 가장 높은 메뉴는 ▲아이스크림(35.0%) ▲편의점 음식(34.0%) ▲와플·크로플(25.5%) 순이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카페(890만 건) ▲베이커리(300만 건) ▲햄버거(230만 건) 순으로 결제 건수가 많았는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각 29.5%, 36.2%, 38.2%였다.
외국인들도 즐겨 찾는 햄버거의 경우 카드 결제 상위 10개 브랜드 중 6개는 국내 프랜차이즈였다. 글로벌 브랜드의 경우도 한국에서만 맛볼 수 있는 전용 메뉴, 특색 있는 매장이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한국관광공사는 “한정판, 협업 제품, 지역 특산물 토핑 등 ‘한국식 변주’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인의 평범한 한 끼 식사도 외국인들이 찾는 인기 K-푸드로 자리잡았다. 2025년 7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메뉴는 다름아닌 국수·만두(55.2%), 감자탕(44.0%)이었다. K-푸드가 널리 인기를 끌면서 기존의 불고기, 김치 외의 다른 메뉴로도 관심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관광공사 이미숙 관광데이터전략팀장은 “우리에게는 평범한 일상식이지만, 외국인에게는 자국에서 쉽게 경험하기 어려운 특별한 한 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의 전통 간식도 SNS 확산과 함께 재조명받고 있다. 떡·한과에 대한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76.9% 성장한 것이다. 특히, 해외 SNS에서 유행한 ‘꿀떡 시리얼’은 30만 건 이상의 ‘좋아요’를 기록하며 국내 기업의 신제품 출시로 이어지기도 했다.
K-푸드를 찾기 위해 편의점을 찾는 외국인들도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접근성 높은 쇼핑 장소에서 라면부터 간식까지 고를 수 있는 ‘여행 메뉴판’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2023년 1월~2025년 7월 소셜 분석 결과, 편의점 관련 게시물의 40.1%가 음식과 관련 있었고 주요 키워드는 ▲라면(14.1%) ▲커피(10.5%) ▲과자(7.0%)였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BC카드의 조사에서도 외국인들의 인기 K-푸드에 변화가 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BC카드가 지난해 9월 발표한 15개 지역 대표 음식의 3년치 소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가대표 음식관광 콘텐츠 33선’에 따르면 외국인 카드 결제가 가장 많았던 지역 대표 음식 순위를 보면 치킨, 중국음식에 이어 간장게장이 3위를 차지했다. 2022년까지만 해도 간장게장은 6위에 머물렀다.
2년 전 순위권에 없던 순두부는 8위를 차지했다. 치킨, 돼지고기 등 이미 유명한 한식 외에 다양한 전통 음식으로 외국인 관광객들의 관심이 넓어진 것이다. 게다가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도 증가는 해당 음식이 유명한 지역을 외국인이 직접 찾아가 소비하는 현상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지역별 빵지순례 유행이었다.
BC카드가 지역별 제과 업종 매출 상위 5곳씩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과 업종에서 발생한 외국인 결제 건수는 지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지역별 대표 음식에 대한 외지인과 현지인의 선호도는 다소 갈렸다. 강릉에서 순두부를 결제한 외지인의 건수는 현지인 대비 4.8배 많았다. 강릉에서 물회, 닭강정을 파는 식당에서 외지인이 결제한 건수는 현지인보다 각각 3.0배, 7.2배 이상 많았다. 제주(돼지고기), 대구(치킨), 담양(떡갈비) 지역 내 ‘국수’와 관련된 결제 건수 역시 현지인 대비 최대 5.1배 이상 높았다.
위와 같은 외국인 소비 데이터를 통해 외국인들이 찾는 한국 음식 중 국수‧라면·편의점 간식·길거리 음식 등 ‘일상 음식’의 비중이 급격히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김치, 불고기 같은 상징적인 한식 중심에서 벗어나, ‘생활형 K-푸드’가 글로벌 미식 경험의 핵심으로 부상한 것이다.
지역의 특색을 담은 메뉴로도 확산되고 있다. 지역별 특화된 음식을 먹기 위해 해당 지역을 찾는 외국인도 심심치않게 찾아볼 수 있다. 로컬 빵집·음식이 ‘K-푸드 탐방 코스’의 주축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관광공사 이미숙 팀장은 “최신 트렌드가 전 세계적으로 실시간 공유되면서 한국인의 일상이 외국인에게 새로운 경험으로 확산되고, 다시 한국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를 관광정책이나 마케팅 수립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Cook&Chef / 김세온 기자 cnc02@hnf.or.kr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