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주요 프랜차이즈, 원가율 큰 폭 하락에도 가격 유지·인상
[Cook&Chef = 조서율 기자] 최근 육계 가격 하락으로 원가 부담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가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문미란)는 19일 발표를 통해 “7개 치킨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지난해 매출원가율이 전년 대비 확연히 낮아졌음에도 가격 인상을 강행했다”고 비판했다.
협의회가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프랜차이즈 납품용 육계 가격은 2023년보다 평균 7.7% 하락했다. 이러한 원재료 비용 하락에 맞춰 각 브랜드의 매출원가도 큰 폭으로 줄었다. 네네치킨은 17.9%, 굽네치킨은 11.8%, BHC는 9.5%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원가 부담이 분명히 줄었음이 수치로 확인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업체는 치킨 가격을 오히려 올렸으며, 가격 결정 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협의회는 “본사들이 이중가격제를 공식화하고 있음에도 가격 구조, 적용 기준,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구체적 원인 등을 소비자에게 설명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부 업체는 권장소비자가격조차 홈페이지에 공개하지 않아 소비자가 합리적인 구매 판단을 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협의회는 “구매 방식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면 그 차이를 명확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며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을 경우 소비자들의 가격 불신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외식업계 전반에 걸쳐 원재료값이 오를 때는 ‘부득이한 조치’라며 가격을 올리지만, 이후 원재료 가격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와도 가격에 반영하지 않는 관행이 만연하다. 원재료 상승기에 소비자가 부담을 떠안으며 시장을 지탱해 온 반면, 가격 하락기에는 이미 올려놓은 가격을 유지해 생기는 추가 이익을 외식 기업이 독점하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업체들이 설정한 가격에 대해 소비자들의 불신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