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 Item> 혈액형별 다이어트 추천 음식
조용수 기자
cooknchefnews@naver.com | 2021-04-08 08:04:05
▲ photo-pixabay |
A형의 특징
A형은 내성적이고 성실하며, 완벽을 추구하고 다른 사람에게 싫은 소리를 듣거나 말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또 대체로 비관적이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다른 사람들이 말에 쉽게 상처를 받는 편이다. 계획한 바에 따라서 완벽하게 일을 소화해 내는 성격. 따라서 ‘살빼기=금식’이라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며 다이어트 후의 폭식을 조심해야 한다.
A형은 다른 사람과 함께 식사를 할 때 자신이 체중조절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것을 꺼려하는 편이기 때문에 식사량을 조절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예상되는 상황별로 대처방법을 미리 생각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스트레스를 먹는 것으로 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B형의 특징
B형은 외향적이고, 활달하며 사교적이고, 낙천적이며, 규칙에 얽매이는 것을 싫어하는 성격으로 아이디어가 많고, 변화를 좋아한다는 평가를 듣는 편이다. 먹는 것을 좋아하는 미식가가 많고 진하고 깊은 맛을 즐기는 편이어서 살찌기 쉬운 타입이기도 하다. 성격상 ‘단기 집중형’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이들이 많아 효과는 빨리 나타나나 요요현상이 쉽게 나타나므로 몸매 유지에 늘 신경을 써야한다.
AB형의 특징
가치관이 뚜렷하며 분석적인 성향이 있는 AB형도 B형과 마찬가지로 미식가가 많은 편이다. 아름다운 몸매 만들기에도 관심이 있지만 그보다 건강을 위한 투자로 다이어트에 관심을 갖는 이들이 많다. 따라서 다이어트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한다거나 저칼로리 식사를 통해 건강과 미용을 둘 다 얻을 수 있는 다이어트 방법이 적합하다.
특히, AB형이 체중감량을 하려면 고기의 섭취량을 줄이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야채나 두부를 많이 먹는 게 효과적이다. 컬리플라워, 오이, 샐러리 같은 야채는 AB형에게 활력의 공급원이 될 수 있기 때문. 한 두잔 정도의 커피나, 적포도주, 매실, 요구르트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게다가 포만감을 주어 칼로리가 높은 음식의 섭취를 예방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샐러드에 마요네즈가 첨가되면 칼로리가 높아진다. 마요네즈는 1큰술(14g)에 93kcal로 많은 열량을 낸다. 적어도 1인분에 2큰술 정도는 보통이다 보니 거의 200kcal정도. 이는 밥 2/3공기를 뚝딱한 것이다.
미역이 두부를 만났을 때는 새콤달콤한 차가운 요리가 완성된다. 절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재료 같지만 미네랄, 칼륨, 요오드, 게다가 칼슘이 많은 미역과, 고기 못지않게 단백질과 칼슘이 많은 두부가 만나면 미역과 두부는 우리 몸에 좋은 요리로 완성된다.
O형의 특징
O형은 의지와 실천계획이 남들보다 강하고 추진력과 리더십 또한 뛰어난 편이다. 따라서 목표의식과 라이벌을 만들고 단기간 다이어트를 계획하면 반드시 성공하는 케이스. 다른 혈액형에 비해 요요현상이 잦은 편이므로 간단한 운동과 체조를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O형에게는 브로콜리와 쇠고기를 추천한다. 브로콜리는 비타민C가 레몬의 2배, 감자의 7배로 풍부하다. 그밖에도 비타민A, B1, B2, 칼륨, 인, 칼슘등 미네랄도 시금치 못지않게 풍부하다. 비타민A는 점막이나 피부의 저항력을 높여줘서 감기처럼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겨울철 감기예방에 좋다.
‘식사일기’를 쓰게 되면 전체적인 하루 열량섭취량을 계획하기 쉽고, 간식으로 섭취하는 열량이 어느 정도인지, 어떤 영양소 섭취가 부족한지 등을 한 눈으로 파악할 수 있어 다이어트 성공률이 높다. 수면시간과 운동량, 체중도 함께 기록하면 좋다. 체중은 1주일이나 10일 단위로 측정하는 게 보통이다. 목표 감량 체중은 한 달에 2~4kg로 잡는 게 건강에 무리가 없다.
1.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와 양, 열량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특히 간식이나 음료의 섭취도 빠트
리지 않고 적는다
2. 언제 음식을 먹었는지, 먹는데 걸린 시간을 적는다
3. 음식을 먹은 장소를 기록한다
4. 누구와 함께 먹었는지 적는다
5. 음식을 먹었을 때의 기분을 기록해두면 기분에 따른 음식섭취의 증감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볼 수 있다.
[ⓒ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