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겹살? 한돈, 전월 대비 산지가격은 약 11% 하락, 한돈농가 한숨
조용수 기자
cooknchefnews@naver.com | 2020-06-18 07:30:15
- 산지가격은 떨어지는데 소비자는 못 느껴,소비자가격은 약 8% 올라
그러나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삼겹살의 소비자가격은 산지가격의 대폭 하락에도 불구하고 100g당 2,449원까지 상승하며 같은 기간 약 8%(7.98%) 증가했다. 커지는 ‘금겹살’ 논란에 산지가격은 하락했지만 소비자는 오히려 더 비싸게 삼겹살을 구매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한돈자조금 관계자는 “돼지고기 유통도 마찬가지로 산지가격의 등락에 따라 소비자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가격이 오를 때는 바로 반영되지만, 내릴 때는 그렇지 않은 것이 의아한 부분”이라며, “한돈 농가는 금겹살이라는 논란으로 한돈 소비가 위축되어 가뜩이나 어려운 한돈농가에가 이중고를 겪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돈가는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코로나19 이슈로 생산원가 이하 수준을 맴돌았다. 이후 재난지원금 지급 및 인기 부위 소비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농촌경제연구원은 6월 이후 돈가가 지속 하락해 하반기에는 평년보다 산지가격이 낮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 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삼겹살의 소비자가격은 산지가격의 대폭 하락에도 불구하고 100g당 2,449원까지 상승하며 같은 기간 약 8%(7.98%) 증가했다. 커지는 ‘금겹살’ 논란에 산지가격은 하락했지만 소비자는 오히려 더 비싸게 삼겹살을 구매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한돈자조금 관계자는 “돼지고기 유통도 마찬가지로 산지가격의 등락에 따라 소비자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가격이 오를 때는 바로 반영되지만, 내릴 때는 그렇지 않은 것이 의아한 부분”이라며, “한돈 농가는 금겹살이라는 논란으로 한돈 소비가 위축되어 가뜩이나 어려운 한돈농가에가 이중고를 겪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돈가는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코로나19 이슈로 생산원가 이하 수준을 맴돌았다. 이후 재난지원금 지급 및 인기 부위 소비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농촌경제연구원은 6월 이후 돈가가 지속 하락해 하반기에는 평년보다 산지가격이 낮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